혼란
1. 다양한 Device
-
아이폰, 아이패드 출시
-
아이폰 대항하기 위한 다양한 안드로이드폰 출시
-
Windows Phone은 미국 소비자시장 7% 점유율, 기업시장에 대한 자신감
-
스마트폰 가입자 : 2009년말에는 80만명, 2011.03.23 기준 1000만명
2. 다양한 Platform
-
다양한 운영체제
-
안드로이드의 파편화 (하위 호환성 보장 문제)
3. EMS(Enterprise Mobility Service) 환경에서의 요구사항
-
모바일 그룹웨어를 포함한 영업지원시스템(SFA)
-
사업현장 지원 시스템(FFA)
-
모바일 업무 포털(EP)
-
고객관계관리(CRM)
-
금융, 물류/유통, 제조, 서비스등의 산업전반
4. 문제점
-
새로운 기기 / 운용체제 출시 주기가 짧아짐
-
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의 문제점 발생
-
기존 기업용 IT 인프라의 경우 2년~3년 정도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관리하면서총소유비용(TCO)를 절감할 수 있었는데모바일 분야는 시간이 갈수록 총소유비용이 늘어나고 있음.
Enterprise Mobility
- 기업의 중요한 데이터와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
- 무선통신의 방법을 통해
- 단말기에 즉시 전달되고
- 즉시 비지니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
- 인프라 및 솔루션
MEAP의 태동
1. MEAP
-
스마트폰의 성장과 함께 모바일 오피스 시장에서 MEAP의 중요성이 강조됨
-
MEAP : 밉,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
-
키워드 : 재활용성, 비용절감
-
MEAP은 다양한 모바일 운영체제와 단말을 추상화해 멀티 플랫폼 환경을 통합 지원하는모바일 플랫폼이자 개발 플랫폼
-
현재의 플랫폼뿐 아니라, 미래에 출시될 플랫폼과 단말기에도 빠르게 대응
-
또 중앙에서 관리 가능한 플랫폼 공통의 단말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업계 표준을 준수하며 국제화를 지원
-
기본 백엔드 시스템들과의 통합도 용이하다.
2. MEAP 시장
-
가트너
-
Magic Quadrant for MEAP : 기업용 App 뿐만 아니라 고객대상 플랫폼이 들어가야 한다는 새로운 조건 제시 –> MCAP (Mobile Consumer Application Platform)
-
2010년말 모바일 오피스 시장은 10억달러규모로 성장하고,2012년에는 95%의 회사들이 지금의 단일 기능 위주 모바일 솔루션에서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.
-
-
현재 금융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산되고 있음.
-
모바일 시장의 리더의 이동 : 이통사 중심 ==> IT 서비스 회사
MEAP이란?
1. MEAP의 편의성
-
다수의 스마트폰 OS, 다수의 스마트폰 하드웨어, 다수의 통신사 환경에 대한 코드 재활용성 제공
-
플랫폼 공유를 통해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, 미들웨어에 대한 중복투자 방지
-
다양한 단말기에 대한 모바일 화면 개발 지원
-
테스트와 연동을 위한 지원
2. MEAP의 요건
-
[다양한 단말 환경]을 지원하여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스마트폰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. ‘One Source Multi-use’, 또는 ‘Any Device Any Platform’같은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 MEAP은 스마트폰 플랫폼의 종류, 모바일웹, 모바일 어플리케이션, 리치 클라이언트등의 다양한 클라이언트 형태를 지원하고, 사용자 경험에 바탕을 둔 UI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. 물론, 기존 산업용 PDA의 환경과의 동시 지원여부도 가능해야 한다.
-
[통합개발환경](Integrated Develop Environment, IDE)를 통해서 프로젝트의 구성, 코딩, 테스팅, 디버깅 같은 작업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.
-
[모바일 프레임워크]를 제공하고, 충분한 추상화 계층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단말환경에 적용이 가능해야 한다.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제품들은 메타언어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.
-
[관리기능 및 보안기능]을 제공함으로써 단말들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제어기능을 제공하고, 단말분실 또는 해킹등의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기능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.
-
[백엔드 통합 기능]을 제공함으로써, 기존의 비즈니스 로직과의 연동, SNS와의 연동등과 같이 모바일 환경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. 물론 이를 위해서 백엔드 서비스의 복잡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제공해서는 않된다.
-
[플랫폼 확장성 및 유연성]을 제공함으로써 비즈니스의 확장시 충분히 수평적 확장이 가능하여야 하며, 비즈니스 로직등이 코드의 변경없이 다양한 환경에 쉽게 적용되고, 공유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
Rule of Three
1. 아래와 같은 상황시 MEAP을 사용하여 비용절감과 전략적 이점이 있음.
-
3개 이상의 mobile application 지원
-
3개 이상의 OS 또는 Platform 지원
-
3개 이상의 back-end system 통합
MEAP의 시장
1. Gartner의 MEAP vender 분류
-
Mobile OS 중심 vender
-
MS, Apple, RIM
-
현재 40~60%를 차지하는 점유율은 향후 줄어들것으로 예측
-
-
모바일 Vender
-
Sybase, IBM, Pyxis Mobile, Spring Wireless, Syclo
-
Device와 Application에서 모바일 전문성을 가지고 있음
-
-
Application Solution 기반 Vender
-
SAP, Oracle
-
자신들의 Application Solution의 MEAP 시장 적용에 주력
-
2. MEAP 리더
-
SUP (Sybase Unwired Platform)
-
사이베이스
-
Hybrid App 지원
-
SAP 인수합병 후 SAP 애플리케이션 Mobility 강화
-
Application Template 90가지
-
-
AMP (Antenna Mobile Application)
-
Antenna Software
-
Native App, Mobile App, Smart TV 지원
-
SaaS(Software as a Service) 형태로 이미 AT&T나 보다폰 등이 서비스 제공
-
AMP Studio 4.0으로 강력한 IDE 제공
-
블랙베리, Windows Mobile, Palm OS, iPhone을 지원
-
KT의 경우 ‘안테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’을 기반으로 한 KEMP 솔루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음
-
-
MEAP 리더의 변화
-
Sybase 주춤 : 안드로이드/웹 지원은 SUP2.0에서 지원됨
-
Antenna 약진 : 웹 지원 분야에 강세를 띄었던 볼렌티스를 인수
3. MEAP 국내 시장
- 배경 : 정부의 스마트워크 촉진 정책, 모바일 금융 및 전자상거래 확산
-
한국 IMB
-
아모레퍼시픽/이마트에 도입, SPoSA 기반 모바일오피스
-
SPoSA (스포사, 스마트폰 지향 서비스 아키텍처) 기반
-
IBM 위치인식기술인 셀라돈(Celadon)을 모바일 환경으로 확대 적용
-
IBM 미들웨어인 웹스피어에서만 동작 (경쟁사 미들웨어를 지원하는 것은 본사 정책에 따라 불가)
-
국내 연구소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한국 실정에 적합 (5년간 R&D)
-
MDM(모바일 디바이스 관리) : 기기관리(단말기 정보를 서버에 저장관리), 액세스 관리(단말기 분실시 서비스 제한), 애플리케이션 관리(앱스토어에 등록못하는 기업전용 앱 관리), 메시지 푸시
-
-
SK C&C / NEXCORE Mobile
-
가트너의 9대 요건 충족
-
팬 플랫폼
-
기업시장에서의 N스크린 : 스마트폰, 태블릿, 무인점포, 키오스크
-
SK네트웍스의 모바일 서비스 프로젝트
-
-
삼성SDS / SEMP (Secure Enterprise Mobile Platform)
-
기업은행 신영업지원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처음 채택
-
-
KT / KEMP (KT Enterprise Mobility Platform)
-
안테나 기반
-
고객이 KEMP로 구축시, KT가 안테나에 라이선스 지급
-
-
LG CNS / 모바일 통합 솔루션
-
MEAP 뿐만 아니라, 일반 고객 대상으로 제공하는 컨슈머용 앱 개발을 위한 MCAP도 출시
-
LG그룹의 모바일 그룹웨어, 통합 청구서 앱인 ‘엠포스트(MPost)’ , 모바일 광고 솔루션 ‘자바라(Zabara)’, GS25의 고객 마케팅 앱 ‘나만의 냉장고’, LG생활건강의 모바일 방문판매 시스템, LG트윈스 야구단의 팬 서비스 앱인 ‘LG트윈스’ 등을 개발/운영할 때 이미 적용
-
MEAP의 문제점
1. 문제점
- 개발생산성, 보안성, MDM, 기존 서버 시스템과의 연결성이 중요하지만 MEAP 업체들이 개발생산성만을 경쟁적으로 강조 -> 시장 외곡
-
페이퍼 구현 업체 난립, 개념증명(PoC) 단계에서의 샘플코드는 믿을 수 없음.
-
모바일 환경을 100% 대응하기에는 매우 어려움
-
OS환경의 변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호환성의 문제가 야기
-
완전한 OSMP(One Source Multi Platform)는 힘들다.
-
다양한 단말의 UI까지 일괄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, UI 결과물이 그리 좋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
2. 대안책
-
HTML5 자체가 하나의 플랫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MEAP와 포지셔닝 충돌에 따른 정리가 필요함
-
현재로서는 Hybrid App이 대안이 될 수 있음.
-
대안이 나온 이후 중요점들 : MDM, 콘텐츠 관리 성능, 보안 연동, 단말기와 기존 인프라간 통합 관리, 현업 사용자 지원
3. MEAP Vender가 말하는 HTML5의 한계점
- 페이지 로딩 방식에 따른 느린 속도 :HTML5는 Offline 사용도 가능
- 디바이스의 한계에 따른 처리 속도의 한계점 : HTML5는 JS엔진 성능의 비약적 발전
-
다양한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웹브라우저의 제약점 : HTML5는 Device API 지원
MCAP vs MEAP
1. MEAP (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)
- 대상
- 기업이나 조직내부 구성원의 업무용 응용프로그램 대상
- B2E / B2B : 모바일 오피스, 경영정보 시스템 등
- 특징
- 내부정보를 통재하기 위해 단말기 보안 필수
- 기업내 프로세스를 반영하기 위한 내부 시스템 연계
2. MCAP (Mobile Consumer Application Platform)
-
대상
-
기업이나 기관이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대상
-
B2C : 스마트폰 뱅킹 등
-
-
특징
-
다양한 UI/UX 지원
-
다양한 OS Version에 일괄대응
-
각 기기의 특성에 접근 (증강현실, LBS)
-
MEAP을 사용한 OSMP 구현방법
1. 개발 환경에서 플랫폼 별 소스 생성
-
통합개발환경을 제공함. 여기에는 공통된 API를 지원함
-
API를 이용해서 어플을 개발하고, 컴파일 및 빌드 하면, 각각의 플랫폼에 맞는 소스 코드가 생성됨
-
생성된 소스코드는 각각의 플랫폼(iOS, Android, 등)에 설치만 하면 됨.
2. 휴대폰 실행 환경에서의 Runtime 제공
-
통합개발환경에서 개발된 소스 코드를 빌드하고, 컴파일된 코드를 휴대폰에 전송함
-
휴대폰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Runtime 환경에서 위의 생성된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함
-
마치 java runtime이나 웹 브라우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함
-
단, 각각의 플랫폼 마다 Runtime을 지원하는 어플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
용어
-
EMS : Enterprise Mobility Service
-
MEAP :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
출처
-
MEAP 요약 #1 : http://blog.naver.com/hara9/10111162945
-
MEAP 요약 #2 : http://jdlab.tistory.com/169
-
MEAP 소개, 업체 소개 : http://www.bloter.net/archives/65696
-
MEAP 리더의 변화 : http://www.bloter.net/archives/62649
-
국내 MEAP 벤더 시장 : http://www.etnews.com/20110408016
-
LG CNS : http://www.bloter.net/archives/63669
-
한국IBM SPoSA #1 : http://ihome911softtech.blogspot.com/2011/02/ibm-sposa.html
-
MCAP vs MEAP : http://www.itconference.co.kr/203385
발표자료
Notice

굉장히 정리가 잘 된 글이네요. 저는 `마인드웨어웍스’라는 MEAP 솔루션을 가진 벤처의 마케팅 담당자입니다. 최근에는 국내 최대 보험사의 Mobile Platform으로 계약을 맺었습니다. 앞으로는 이러한 솔루션 소개에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 좋은 자료 퍼갑니다.
대학원 발표 자료용 script라서 자세한 설명은 많이 생략이 되어 있습니다.
아무래도 리드하고 있는 큰 회사 위주로 몇개만 조사를 진행하다 보니 다양한 제품을 다루지는 못했네요..
다음에 시간날때 마인드웨어웍스 제품도 한번 구경해 보고 싶군요.
별볼일 없는 자료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잘 정리된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.
모바일 회사를 차리려고 하는데 자료를 퍼가겠습니다.
아직 오픈 전이지만
http://www.emobiz.kr 이 될것입니다. 미리 감사드립니다
1차 출처에 나와있듯이, 저는 여기저기 흩어진 자료들을 정리한 것이므로 출처만 밝히시면 마구 퍼가셔도 괜찮습니다. ^^
제가 wiki tag로 글 작성하는 타입이라 보기 힘드신 듯하여, 조금 이쁘게 수정했습니다. 다시 퍼가시면 정리하시기 편하실듯해요.
하시려는 사업 건승하시기 바랍니다.
정리도 잘되었고
PPT도 환상적이네요.
감사합니다. ^^